4대보험 요율 총정리 ,계산방법과 최신기준쉽게 이해하기
4대보험 요율 총정리: 계산 방법과 최신 기준 쉽게 이해하기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하거나 사업을 운영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이 바로 4대보험입니다. 4대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을 말하며, 각각의 요율이 어떻게 책정되는지 이해하면 급여 계산이나 사업 운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 오늘은 2025년 기준 최신 4대보험 요율과 계산 방법을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1. 국민연금 요율
국민연금은 노후를 위한 연금 제도로, 근로자와 사용자가 각각 부담합니다.
-
요율: 9% (근로자 4.5%, 사용자 4.5%)
-
적용 기준: 월 급여 5,120만 원 이하
예시: 월 급여가 300만 원인 경우
근로자 부담: 300만 원 × 4.5% = 13만 5천 원
사용자 부담: 300만 원 × 4.5% = 13만 5천 원
2. 건강보험 요율
건강보험은 병원 이용 시 부담을 줄여주는 보험입니다.
-
요율: 2025년 기준 7.09% (근로자 3.545%, 사용자 3.545%)
-
장기요양보험료 포함: 별도 12.27% 적용
예시: 월 급여 300만 원
근로자 부담: 300만 원 × 3.545% ≈ 10만 6천 원
사용자 부담: 300만 원 × 3.545% ≈ 10만 6천 원
Tip: 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의 12.27% 정도가 추가로 부과됩니다.
3. 고용보험 요율
고용보험은 실직 시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보험입니다.
-
근로자 부담: 0.8%
-
사용자 부담: 업종별 차등 (1.6%~2.5%)
-
적용 기준: 모든 근로자 월 급여
예시: 월 급여 300만 원
근로자 부담: 300만 원 × 0.8% = 2만 4천 원
사용자 부담: 300만 원 × 1.6% = 4만 8천 원
4. 산재보험 요율
산재보험은 업무상 재해 발생 시 지원하는 보험입니다.
-
근로자 부담: 없음 (전액 사용자 부담)
-
요율: 업종별 위험도에 따라 0.7%~34.5%까지 다양
-
계산 기준: 월 급여 × 업종별 요율
Tip: 위험도가 높은 업종일수록 산재보험료가 높습니다. 사무직은 낮고, 건설·제조업은 높습니다.
5. 4대보험 합산 예시
구분 | 근로자 부담 | 사용자 부담 |
---|---|---|
국민연금 | 13만 5천 원 | 13만 5천 원 |
건강보험 | 10만 6천 원 | 10만 6천 원 |
고용보험 | 2만 4천 원 | 4만 8천 원 |
산재보험 | 0 | 3만 원 (예시) |
합계 | 26만 5천 원 | 32만 9천 원 |
위 합계는 월 급여 300만 원 기준 예시이며, 실제 산재보험 요율은 업종에 따라 달라집니다.
6. 4대보험 요율 확인 및 계산 방법
-
국민연금: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
건강보험: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
고용보험: 고용보험 홈페이지
-
산재보험: 근로복지공단 홈페이지
Tip: 4대보험 자동 계산기를 활용하면, 복잡한 계산 없이 근로자 부담금과 사업주 부담금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론
4대보험은 근로자와 사업주 모두에게 필수적인 제도입니다. 요율과 계산 방법을 정확히 이해하면, 급여 관리와 세금 신고가 훨씬 수월해집니다. 오늘 알려드린 2025년 최신 4대보험 요율 기준으로 월급을 확인하고, 필요시 자동 계산기를 활용해 보세요.